26일 뉴스에서, 제이스코홀딩스가 매도청구권으로 취득한 1회 차 전환사채 중 57억 원을 추가로 소각한다는 소식과 바른손이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20억 원 규모의 33회 차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을 결정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제이스코홀딩스, 57억 전환사채 추가 소각 "오버행 해소" (2023.05.26)
▶바른손, 20억 규모 전환사채 발행 결정 (2023.05.26)
▶유유제약, 245억 전환사채 발행 "6회 연속 제로 금리" (2023.05.19)
기업의 전환사채 발행은 투자자에게 어떤 의미일까요? 그래서 오늘은 전환사채의 개념과 장단점, 그리고 전환사채 공시 확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환사채(Convertible Bond)
전환사채(CB)는 기업이 자본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회사채로, 채권과 주식의 특징을 결합한 채권입니다. 일정한 조건에 따라 채권을 발행한 기업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투자자는 전환 전에는 사채로서의 확정이자를 받을 수 있고, 전환 후에는 주식으로서의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전환사채 작동 원리
기업이 전환사채를 발행할 때 투자자는 전통적인 채권 투자와 마찬가지로 정기적인 이자 지급을 기대하고 전환사채를 구매합니다. 전환사채는 채권 보유자에게 사전에 결정된 전환 비율로 채권을 지정된 수의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합니다. 쉽게 말해, 전환사채 발행 당시 채권과 주식을 얼마의 비율로 교환할 것인가 하는 '전환가격'을 정해둔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노마드 유니콘' 기업이 1년 만기 전환사채를 발행하면서 전환사채 만기보장 수익률이 10%, 전환가격이 2만 원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1년 동안 기업의 주가가 2만 원 미만인 경우 채권 보유자는 만기까지 보유했다가 10%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기업의 주가가 상승해 4만 원이 되었다면 전환하여 주당 2만 원의 시세차익을 누릴 수 있습니다.
전환사채의 장점
자본구조의 다각화
기업의 경우 전환사채 발행을 통해 부채와 자기자본조달을 결합해 자본구조를 다각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연성은 더 많은 주식을 발행하거나 추가 부채를 지는 것에만 의존하지 않고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추가 수단이 됩니다.
낮은 이자 비용
발행인 관점에서 전환사채는 종종 전통적인 채권에 비해 이자율이 낮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기업의 주가 상승으로 인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대가로 더 낮은 이자율을 기꺼이 받아들이기 때문입니다.
잠재적 상승 기회
투자자에게 전환사채는 발행기업 주식의 잠재적 상승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기업의 실적이 좋아 주가가 상승하면 채권 보유자는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하여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 위험 완화
시장 변동성이 크거나 회사의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 전환사채 보유자는 전통적인 채권 보유자와 유사하게 만기 시 원금을 반환받고 이자 지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주식 투자와 관련된 위험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전환사채의 단점
낮은 이자 비용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환사채는 기존 채권에 비해 이자율이 낮습니다. 이는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하고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는 잠재력에 대한 절충안인데요. 하지만 정기적인 수입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는 전환사채가 매력적인 상품이 아닐 수 있습니다.
제한된 이익
전환사채 보유자는 발행기업 주식의 상승여력에 참여할 수 있지만, 참여 범위는 전환율에 의해 제한됩니다. 주가가 크게 상승하면 전환사채 보유자의 이익은 미리 정해진 전환비율로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전환가액의 조정 의미
기업의 공시를 보다 보면, '전환가액의 조정' 보고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3년 5월 11일 '다원시스'의 전환가액의 조정 보고서를 살펴볼까요?
제6회 차 전환사채는 80억 원어치 발행이 된 것이며, 이번에 다원시스 주가가 하락하면서 전환가액 14,900원을 13,620원으로 조정한다는 보고서입니다. 이번 조정으로 인해 전환사채 보유자가 발행할 수 있는 주식 수는 58만 7371주로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전환사채 공시 확인 방법
전자공시시스템의 공시통합검색에서 회사명 기재 후 검색을 클릭하면 공시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른손을 검색하면, 2023년 5월 26일 공시로 '주요사항보고서(전환사채권발행결정)' 자료가 나옵니다. 보고서를 통해 사채 회차와 종류, 사채의 권면총액, 사채만기일, 표면이자율과 만기이자율, 전환비율과 전환가액 등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분구조의 인적구성이 그대로, 인적분할 왜 하는걸까? (0) | 2023.06.02 |
---|---|
양봉·음봉·잠자리형까지, 캔들의 기본 구조와 11가지 모형 이해하기 (0) | 2023.06.01 |
주식을 빌린다고? 대차잔고 증감의 의미과 대차잔고 확인 방법 (0) | 2023.05.28 |
Si에서 GaN으로, 전력반도체 GaN 개념과 GaN 관련주 (0) | 2023.05.27 |
MSCI? 편입·편출? MSCI 한국 지수 개념과 특징 제대로 이해하기 (0) | 2023.05.26 |
댓글